|  | 
	
		|  |  
 
    
        |  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학 명  |  Paeonia lactiflora Pall.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추천국명  |  작약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한약재명  |  백작약(白芍藥),적작약(赤芍藥)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다른이름 (Other Names)
 | Paeonia lactiflora Pall.;Paeonia albiflora Pall.;
 Paeonia lactiflora var. hortensis Makino;
 |  
        |  |  
        											| CCID 등재명  | PAEONIA ALBIFLORA();PAEONIA ALBIFLORA FLOWER EXTRACT(작약꽃추출물);
 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(작약추출물);
 PAEONIA ALBIFLORA ROOT POWDER(작약가루);
 PAEONIA LACTIFLORA();
 PAEONIA LACTIFLORA BARK/SAP EXTRACT(작약껍질/수액추출물);
 PAEONIA LACTIFLORA ROOT();
 PAEONIA LACTIFLORA ROOT EXTRACT(작약추출물);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| 등록된 이미지  | 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과(FAMILY)명  | Paeoniaceae(작약과);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속(GENUS)명  | Paeonia();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종(SPECIES)명  | lactiflora Species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| 사용부위  |  뿌리(ROOT);
 |  
        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| 꽃(FLOWER)색상  | 빨강(Red) |  
        										|  |  
        | 천연물설명 (Descriptions)
 |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약으로 쓴다. 뿌리의 겉껍질을 벗기지 않은 것을 적작약이라고 한다. |  
        |  |  
        											| 약제분류  | 보익약(補益藥);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성 미  | 고산(苦酸),미한(微寒)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해 설  | ①간혈이 부족하여 얼굴이 희고 광택이 없으며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고 손톱과 발톱의 색이 퇴색되어 가는 증상에 보혈 및 화혈 작용을 보인다.②여자의 간혈 부족으로 인한 생리불순 및 자궁 출혈을 다스리고, 산전,산후의 여러 증상에 통용된다.
 ③신체가 허약해서 땀이 많거나 도한이 있을 때에 유효하다.
 ④열병이나 만성 질환에 잘못 치료해서 땀을 내거나 설사를 시켜 나타나는 수족떨림증 및 피부가 떨리고 심하면 반신불수가 되는 증상에 양혈, 유간, 식풍의 치료 효과가 있다.
 ⑤간양상항으로 인해 나타나는 어지럼증, 이명, 홍적색 얼굴, 안구충혈, 조급증, 화를 잘 내면서 머리가 무거운 증상에 쓴다.
 ⑥간은 근육의 운동을 주관하므로 복통 및 사지가 땡기면서 아픈 증상을 다스린다.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주요성분해설  | paeoniflorin, paeonin, paeonol, 정유, tannin 등이 알려졌다.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약 리  | ①중추 신경 억제 작용이 있어서 진정,진통 작용을 나타내고,②위장과 평활근의 억제 작용과 위산 분비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.
 ③혈소판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있고,
 ④간 기능 보호 효과와
 ⑤혈관 확장 작용이 있어서 가벼운 혈압 강하 작용을 보인다.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임상보고  | ①습관성변비,②위십이지장 궤양에 유효하였고,
 ③비장근 경련을 완화시켰다.
 ④약침 제제로는 진통 효과가 입증되었다.
 ⑤백일해에도 임상 효과가 밝혀졌고,
 ⑥기관지천식에 유효 시간을 단축시켰다.
 ⑦선천성, 위축성 근육강직 증상에 체질에 따른 배합 처방으로 유효성을 보였고,
 ⑧당뇨병에도 혈당 강하 반응을 나타냈다.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				| 분석된 함유성분  | 5-Methyl-2-furaldehyde |  
        															|  |  
        |  |  |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