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 | 
 
    
        |  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학 명  |  Clinopodium gracile var. multicaule (Maxim.) Ohwi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추천국명  |  탑꽃(Tap-kkot)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한약재명  |  전도초(剪刀草)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다른이름 (Other Names)
 | Clinopodium gracile var. multicaule (Maxim.) Ohwi;Calamintha multicaulis Maxim.;
 Clinopodium multicaule (Maxim.) Kuntze;
 Clinopodium multicaulis (Maxim.) Matsum.;
 Satureia multicaulis Matsum. & Kudo ex Nakai;
 Satureia multicaulis (Maxim.) Nakai;
 산탑꿎(San-tap-kkut);
 산탑풀(San-tap-pul);
 섬탑풀(Seom-tap-pul);
 |  
        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과(FAMILY)명  | Labiatae(꿀풀과);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속(GENUS)명  | Clinopodium();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종(SPECIES)명  | gracile Variety multicaule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| 사용부위  |  지상부(BUD);
 |  
        										|  |  
        | 천연물설명 (Descriptions)
 |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지상부를 약으로 쓴다. |  
        |  |  
        											| 약제분류  | 거풍습약(祛風濕藥);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성 미  | 고신(苦辛),한(寒)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해 설  | ①감기로 인한 두통, 발열을 치료하고,②이질과 장염에도 효험이 있다.
 ③단독, 악창, 벌레 물린 데는 짓찧어 붙이고,
 ④지혈 작용이 있으므로 부인의 자궁 출혈에 쓰며,
 ⑤유방염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.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임상보고  | 이질, 장염에 용아초와 함께 달여서 복용하고 효력을 얻었다.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|  |  |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