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 | 
	
		|  |  
 
    
        |  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학 명  |  Ricinus communis L.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추천국명  |  피마자(Pi-ma-ja)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한약재명  |  피마자(피麻子),피마엽(피麻葉),피마유(피麻油),피마근(피麻根),피마육(피麻肉) |  
        |  |  
        | 다른이름 (Other Names)
 | Ricinus communis L.; |  
        |  |  
        											| CCID 등재명  | RICINUS COMMUNIS();RICINUS COMMUNIS (CASTOR) SEED OIL(피마자오일,피마자유);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| 등록된 이미지  | 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과(FAMILY)명  | Euphorbiaceae(대극과);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속(GENUS)명  | Ricinus();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		| 종(SPECIES)명  | communis Species |  
        		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| 사용부위  |  잎(LEAF); /  뿌리(ROOT); /  종자(SEED); /  기름(OIL); /  독성있음(POISON);
 |  
        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| 꽃(FLOWER)색상  | 빨강(Red) |  
        										|  |  
        | 천연물설명 (Descriptions)
 | 대극과의 한해살이풀로 종자(피마자), 잎(피마엽), 종자 기름(피마유), 뿌리(피마근)을 약으로 쓴다. |  
        |  |  
        											| 약제분류  | 외용약(外用藥);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성 미  | 피마자:감신(甘辛),평(平),유독(有毒), 피마근:미온(微溫),담(淡)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해 설  | 피마자는 ①종기 초기, 옴, 버짐, 악창, 경부림프절염에 짓찧어 환부에 붙이고,②변비에 효력이 신속하나 독성이 강하여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.
 ③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, 반신불수에 활용되며,
 ④물이나 불에 데었을 때에도 조개껍데기가루와 같이 외용한다.
 피마엽은 ①각기,
 ②고환염,
 ③해수, 천식에 유효하며,
 ④종기와 악창에 환부에 붙여서 치료한다.
 ⑤어린잎은 식용한다.
 피마근은 ①파상풍에 쓰고,
 ②간질에서 경련을 풀어 주고 진정 효과를 보인다.
 ③풍습성으로 오는 사지동통을 치료하며,
 ④타박상에도 쓰인다.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주요성분해설  | 피마자에는 지방유 40~50%가 함유되어 있으며, 주성분은 ricinine, ricin과 유독한 단백질 acidicricin, basicricin 등이다. 피마엽에는 kaemferol-3-rutinoside, isoquercitrin, rut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, 피마근에는 methyl-trans-2-decene-4,6,8-triynoate, 1-tridecene-3,5,7,9,11-pentyne, b-sitosterol 이 함유되어 있다.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약 리  | 피마자는 십이지장 내에서 지방을 분해시켜 설사를 일으키게 한다.피마유는 ①복통과 설사를 유발시키며,
 ②피부 윤활 작용을 일으켜 피부염과 기타 피부병에 활용된다.
 피마엽 약침액은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킨다.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임상보고  | 피마자는 ①안면신경마비에 짓찧어서 기름을 제거한 다음 하악관절과 입가에 붙인다.②중독 증상으로 구토, 복통, 설사, 의식마비, 수족냉증, 동공산대를 일으키는데, 병원에서 응급 처치를 해야 한다.
 피마근은 ①전간에 효험이 있고,
 ②소아파상풍,
 ③기관지폐렴, 뇌염에도 유효성을 나타냈다.
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| 기타주의사항  | 피마자는 독성이 강해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. |  
        											|  |  
        															| 분석된 함유성분  | beta-Carotene (all-trans)Ricinus communis glycoprotein CB-1-A
 |  
        															|  |  
        |  |  |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