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
			
 | 
 
    
         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학 명   | 
         Myristica fragrans Houtt.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추천국명   | 
         육두구나무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한약재명   | 
         육두구(肉豆구)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다른이름  (Other Names)   | 
        ;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											CCID 등재명   | 
        											MYRISTICA FRAGRANS(); MYRISTICA FRAGRANS (NUTMEG) EXTRACT(육두구추출물); MYRISTICA FRAGRANS (NUTMEG) KERNEL OIL(육두구커넬오일);  | 
    											  
    											 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 		  
    
    
    
    
    
        										사용부위   | 
        										 종자(SEED);
  | 
    											 
    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 | 
    											 
    
    
    
    
    
    
        천연물설명  (Descriptions)   | 
        육두구과의 늘푸른큰키나무로 종자를 약으로 쓴다.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
    
    
        											약제분류   | 
        											수삽약(收澁藥);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성 미   | 
        											신(辛),온(溫)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해 설   | 
        											①온성과 방향성이 높아서 오래된 설사, 탈항에 유효하다. ②비위가 차서 일어난 복부팽만, 구토, 식욕감퇴 등에 유효성이 인정된다.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주요성분해설   | 
        											b-pinene, terphinene-4-ol, safrole, methyleugenol, myristicin, licarin B 등이 확인되었다.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약 리   | 
        											①소화기 계통에 작용하여 장관을 흥분시키는 효과를 보이고, ②정유는 중추 신경 억제 작용으로 수면 시간을 연장시킨다. ③항균 작용이 나타난다.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임상보고   | 
        											①이질 후 종합 증상에 유효하였으며, ②만성설사에도 효력을 얻었다. ③영아 설사에도 증상에 따른 배합 처방으로 효력을 얻었다.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
    
    
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 
 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