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
			
 | 
	
		  | 
	 
 
 
    
         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학 명   | 
         Thymus quinquecostatus Celak.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추천국명   | 
         백리향(Baek-ri-hyang)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한약재명   | 
         백리향(百里香)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다른이름  (Other Names)   | 
        Thymus quinquecostatus Celak.; Thymus serpyll var. prczewalskii Kom.; Thymus prczewalskii (Kom.) Nakai; Thymus prczewalskii var. magnus Nakai; Thymus serpyllum var. ibukiensis Kudo; Thymus prczewalskii var. laxa Nakai; Thymus quinquecostatus var. laxus (Nakai) Hara; Thymus quinquecestatus var. ibukiensis (Kudo) Hara; Thymus japonicus (Hara) Kitag.; Thymus quinquecostatus var. magnus (Nakai) Kitam.; Thymus magnus (Nakai) Nakai; Thymus serpyllum subsp. quinquecostatus (Celak.) Kitam.; 산백리향(San-baeng-ni-hyang); 섬백리향(Seom-baeng-ni-hyang); 일본백리향(Il-bon-baeng-ni-hyang);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											CCID 등재명   | 
        											THYMUS SERPILLUM(); THYMUS SERPILLUM EXTRACT(와일드타임추출물);  | 
    											  
    											 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 		  
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록된 이미지 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
        													과(FAMILY)명   | 
        													Labiatae(꿀풀과);  | 
    		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		속(GENUS)명   | 
        													Thymus();  | 
    		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		종(SPECIES)명   | 
        													quinquecostatus Species  | 
    		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사용부위   | 
        										 지상부(BUD);
  | 
    											 
    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 | 
    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꽃(FLOWER)색상   | 
        										빨강(Red)  | 
    											 
    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 | 
    											 
    
    
    
    
    
        천연물설명  (Descriptions)   | 
      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지상부를 약으로 쓴다.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
    
    
        											약제분류   | 
        											온리약(溫裏藥);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성 미   | 
        											신(辛),온(溫)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해 설   | 
        											①위장이 차서 구토, 복통, 설사, 복부창만 등을 일으킬 때 유효하며, ②감기로 인한 해수, 백일해, 경련성해수, 인후염에 사용된다. ③거풍 작용이 있어서 관절염, 동통, 굴신이 잘 안 되는 증상을 치료한다.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    											주요성분해설   | 
        											scutellareinheteroside, luteolin-7-glucoside, apigenin, carvacrol 등이 알려졌다.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
        											임상보고   | 
        											①관절염에 약침 제제로 활용하여 효력을 얻었으며, ②골절염에도 약침 제제로 이용하자 관절 활동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. ③급성위장염에 이 약물 12~15g을 10분간 끓여서 복용하자 복통이 소실되었으며, ④만성위염에도 탁월한 반응을 보였다.  | 
    												 
    												
        											 | 
    												 
    
    
    
    
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 
 
 |